반응형

HOLDING

HOLDING ENTRY

HOLDING 이란 IFR 비행에서 사용하는 maneuver로 , 주로 항공기 traffic에 의한 대기가 발생하였을 때 , 혹은 특정 상황에서 대기가 필요할 때 사용한다. 특정 fix로부터 부여받은 course와 nm 을 정해진 시간 혹은 EFC 시간까지 수행한다.

 

  • 홀딩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published holding

published holding은 홀딩에 대한 정보와 지시사항이 차트에 명시되어 있으며 , ATC 가 HOLD AS PUBLISHED 라는 지시사항을 발부한다.

 

 

holding instruction by ATC

ATC에 의해서 홀딩 코스 , 방향 , 위치 등이 결정되어 진다. 지시사항의 항목은 다음과 같다.

 

1. 항공기 ID

2. direction of fix

3. name of fix

4. inbound course

5. inbound leg ( 시간 혹은 nm ) 

6. left , right ( 언급 없을 시 right 이 기본 ) 

7. EFC ( expected further clearance ) 시간

 

 

  • holding entry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져 있다.

HOLDING ENTRY

holding entry

 

홀딩 지시를 받았을 때, 해당 홀딩 fix로 부터 나의 방위를 통해 3가지의 방법으로 진입을 시도 하게 된다.

direct , tear drop , parallel 이 있고, 홀딩 지시 right turn 혹은 left turn에 따라 바뀌게 된다.

* outbound course 를 기준으로 엔트리를 수립한다. inbound course , outbound radial 로 지시를 받았을 때 outbound course로 고려해야 한다. 

 

  • holding leg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고 수행되어 진다.

holding procedure

1. ATC에게 홀딩을 지시받는다. 

* DME 홀딩시 DME의 slant range 특성이 있지만 , GPS ATD를 참조하여 홀딩이 가능하다.

* 고도에 따른 최대 홀딩 속도가 규정되어 있다. 아래 참조

* 고도에 따른 inbound leg 시간이 정해져 있다. 

* 홀딩에서의 모든 선회는 standard rate of turn ( 3도 per second )  혹은 25도 bank 중 적은 bank로 진행한다.

* 홀딩 진입 3분 전에 홀딩 속도로 속도를 조절한다.

* ATC는 clearance limit 5분전까지 further clearance를 발부하여야 한다.

* clearance limit 도착 3분이내 까지 별도의 지시사항이 없다면 holding 을 준비하고 , 홀딩 속도로 감속한다.

* inbound leg의 wind correction 에 3배를 outbound leg에 해준다 ( rule of thumb ) 혹은 tracking diamond

* inbound leg 가 35초 였다면, outbound leg를 1분 25초 진행하여 1min leg를 맞춘다.

 

2. outbound course에 따른 홀딩 엔트리를 수립한다.

* entry는 5도 이내의 경우 어느 쪽을 선택하여도 상관없다.

* direct 는 바로 fix를 지나 선회

 

* tear drop 은 fix 통과후 30도 off course holding side 쪽( R 패턴 L , L 패턴 R )으로 1분 진행 후 right pattern 시 R turn , left pattern 시 L turn 선회하여 inbound leg 진입. 즉 R 패턴 TEAR DROP인 경우 L 30도 오프코스 하여 1분 진행 후 R 턴하여 INBOUND , L 패턴 TEAR DROP 인 경우 , R 턴 30도 오프코스 하여 1분 진행 후 , L 턴 하여 INBOUND

 

* parrallel 은 fix에서 outbound course inbound radial 을 기수방향으로 하여 1분간 진행 후 right pattern 시 L turn , left pattern 시 R turn 225도 하여 inbound leg 진입. 

 

 

3. 홀딩 엔트리 후 holding fix를 지나 선회 시 , outbound leg time checkabeam fix 혹은 complete turn 중 늦은 시간에 시작한다.

* 첫 outbound leg는 14,000ft 이하에서 1분 , 14,000ft 초과에서는 1분 30초를 무조건 진행한다.

* outbound leg는 바람에 따라 inbound leg를 1분 혹은 1분 30초를 만드는 목적으로 진행된다.

 

4. inbound course로 진입할 때 inbound time checkwing level 혹은 cdi center 중 빠른 시간에 시작한다. ( rule of thumb )

 

 

 

고도별 maximum holding speed 제한사항은 다음과 같다.

 

ICAO PANS OPS HOLDING SPEED
FAA US TERPS HOLDING SPEED

1. FAA 기준 

MHA - 6000FT MSL 까지 200KT

6001-14000FT 까지 230KT

14001 부터는 265KT이다

* USAF는 310KT , NAVY는 230KT 이다. PROP 항공기는 175KT이다.

 

2. ICAO 기준

14,000FT 까지 230KT

14,001-20,000FT 까지 240KT

20,000-34,000FT 까지 265KT

34,001FT 이상 M.83

 

* procedure turn 에서는 200kt IAS가 MAXIMUM SPEED 이다 .

'항공지식 > jeppes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R MINIMUM ALTITUDE  (0) 2022.06.19
TCH & SCREEN HEIGHT  (0) 2022.06.14
Continuous Descent Final Approach (CDFA)  (0) 2022.06.03
RUNWAY & TAXIWAY LIGHT  (0) 2022.06.01
APPROACH CATEGORY 및 CIRCLING APPROACH  (0) 2022.05.18

 

MEA

 

1. MEA ( MEA MAA MOCA MORA 변경시 T 마킹 , GPS MEA에는 적용안함 ) 

MEA는 minimum en-route altitude의 약자로 , 장애물에 대한 안전이 보장되고 NAVAID 간의 항법신호가 수신가능한 최소고도.

RNAV MEA

 

2. RNAV MEA 

RNAV 항법을 이용한 IFR 항행의 최소 고도

 

 

MOCA FAA * JEPPESEN T

 

 

3. MOCA

MOCA는 minimum obstacle clearance altitude의 약자로 , 장애물에 대한 보장이 되고 항법신호는 VOR 22NM이내에서만 보장되는 최소고도이다.

FAA 차트에서는 별표마킹을통해 차트에 나타낸다. *

젭슨 차트에서는 T 마킹을 통해 차트에 나타낸다 . T 

 

4. ROUTE MORA

ROUTE MORA & GRID MORA 는 젭슨차트에서 사용하는 최소고도이다.

ROUTE MORA 와 GRID MORA 장애물 안전만 보장하며 ,  항법신호 및 통신은 보장하지 않는다.

route mora는 차트에 나와있는 고도에 a 마킹을 통해 표시한다.

                         장애물이 5000FT 이하일 경우 1000FT의 마진을 ,

                         장애물이 5000FT 초과일 경우 2000FT의 마진을 두고 장애물에 대한 안전을 보장하는 최소 고도이다.

항로중심에서 10nm 반경내의 장애물 안전을 보장하는 최소고도 이다.

 

5. GRID MORA

GRID MORA는 장애물이 5000FT 이하일 경우 1000FT의 마진을 ,

                         장애물이 5000FT 초과일 경우 2000FT의 마진을 두고 장애물에 대한 안전을 보장하는 최소 고도이다.

                 또한 산악지형에서 2000FT의 마진 

                         비산악지형에서 1000FT의 마진을 두고 장애물에 대한 안전을 보장하는 최소 고도이다 .

                         

FAA 차트의 oroca와 같게 표기한다.

 

GRID MORA가 10,000FT 보다 높으면 magenta로 표기하고,

                         10,000FT 보다 낮으면 green으로 표기한다.

 

MCA

 

6. MCA

MCA는 minimum crossing altitude의 약자로 , navaid fix를 통과할때 지켜야 할 최소고도이다.

 

 

 

MRA

7. MRA

MRA는 minimum reception altitude의 약자로 , NAVAID의 신호를 보장하는 최소 고도. 항로 또는 항로 밖 NAVAID의 신호를 보장하는 최소고도.

FIX의 MRA가 MEA보다 높을 때 FLAG를 통해 나타내고 , intersection에서의 navaid 신호 보장하는 최소고도이다.

 

 

 

 

MAA

8. MAA

MAA는 maximum authorized altitude의 약자로 , IFR 항로에서 사용가능한 최대고도이다. NAVAID의 신호를 보장하는 최대고도.

 

 

 

OROCA

9. OROCA

OROCA는 off route obstruction clearance altitude 의 약자로 , 젭슨 차트의 grid mora와 같다. 산악지형에서 2000FT , 비산악지형에서 1000FT의 마진을 두고 장애물에 대한 안전보장을 하는 최소고도이다.

NAVAID의 신호에 대한 보장은 하지 않는다.

차트상에 일정 sector 당 사진과 같이 OROCA를 표기하여 나타낸다.

* VFR 차트에 MEF와 똑같이 표기한다. MEF란 maximum elevation figure의 약자로 , 30x30 nm 구역안의 가장 높은 장애물에 100ft - 300ft 의 마진을 두어 설정하여 표기한 최대장애물고도. 인공구조물은 100ft의 마진을 , 자연구조물은 300ft의 마진을 둔다.

 

 

MTA

10. MTA

MTA는 minimum turning altitude의 약자로 , 항공기 선회기준에 따라 vertical & horizontally 장애물에 대한 안전을 보장하는 최소고도. fly by & fly over 선회시 장애물에 대한 안전을 보장한다.

선회에 대한 제한사항이 적용된다. 즉, turn radius , airspeed , altitude 등의 요소로 MTA는 변경된다.

 

11. MIA

MIA은 minimum ifr  altitude의 약자로 ,  어프로치 차트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적용사항은 다음과 같다.

산악지형에서 코스 4nm이내 가장 높은 장애물 높이 + 2000ft 가 MIA가 된다.

비산악지형에서 코스 4NM이내 가장 높은 장애물 높이 + 1000ft 가 MIA가 된다.

혹은 ATC가 부여한 최소고도가 MIA가 된다.

 

 

 

MVA

12. MVA

MVA란 minimum vectoring altitude의 약자로 , ATC가 사용하는 항공기 벡터링을 위한 최소 고도이다.

산악지형에서는 2000FT 의 마진을 두고

비산악지형에서는 1000FT 의 마진을 둔다. ( GLEIM에서는 산악 , 비산악 상관없이 1000FT 의 마진을 둔다 ) 

 

 

MSA

13. MSA

MSA는 minimum sector altitude의 약자로 , 어프로치 차트에 표기되어 있다. NAVAID 25NM 반경내의 1000FT의 마진을 두고 장애물 회피를 보장하는 고도이다. 비상용으로 사용가능하다. 항법신호는 보장하지 않는다.

 

 

 

14. MSA ( IFR용 최저고도는 아니다. )

8.1.11.5 최저안전고도 : 일반사항(Minimum Safe Altitudes: General)

조종사는 이착륙을 제외하고 다음 각 호에서 정한 고도 미만에서 항공기를 운항하여서는 아니 된다

1) 모든 지역 : 동력장치가 고장났을 경우 지상시설 또는 인명에 위험을 주지 않고 비상착륙을 하거나 비행을 계속할 수 있는 고도

2) 혼잡지역 상공 : 항공기의 수평반경 600미터(2,000피트)의 범위 내에서 가장 높은 장애물 위로 300미터(1,000피트)의 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고도

3) 혼잡지역 상공 이외의 지역 :  지표면에서 150미터(500피트)의 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고도

(운항기술기준 8.1.11.5 )

 

15. MHA ( IFR 최저고도는 아니다 ) 

MHA는 minimum holding altitude의 약자로 , 홀딩절차를 위한 최소고도이다. NAVAID 신호 , ATC , 장애물회피를 보장하는 최소고도이다. 

 

16. OCA ( OCH ) ( IFR 최저고도는 아니다 )

OCA는 obstacle clearance altitude의 약자로 , ICAO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공항 주변에서 장애물 회피공간 기준에 맞춰 고도를 설정한 장애물 보장 최소 고도이다.

 

"장애물 격리(회피)고도/높이(Obstacle clearance altitude(OCA) or Obstacle clearance height (OCH))"라 함은 적정한 장애물 격리(회피)기준을 제정하고 준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당해 활주로 말단의 표고(또는 비행장 표고)로부터 가장 낮은 격리(회피)고도(OCA) 또는 높이(OCH)를 말한다.

주1. OCA는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하고, OCH는 활주로말단표고를 기준으로 하되, 비정밀계기접근절차를 하는 경우 비행장 표고 또는 활주로말단표고가 비행장표고 보다 2미터(7피트)이상 낮은 경우, 활주로말단표고를 비정밀계기접근절차의 기준으로 한다. 선회접근절차를 위한 OCH는 비행장표고를 기준으로 한다.

주2. 표현의 편의를 위해 “장애물격리(회피)고도”를 “OCA/H”의 약어로도 기술할 수 있다.

( 운항기술기준 1.1.1.4 59 )

 

* 활주로 말단 표고는 TDZE을 말하며 , TOUCHDOWN ZONE 내의 최대 고도를 말한다.

TOUCHDOWN ZONE이란 활주로 말단에서 3000FT까지의 구역을 말한다.

'항공지식 > jeppes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LDING  (0) 2022.06.19
TCH & SCREEN HEIGHT  (0) 2022.06.14
Continuous Descent Final Approach (CDFA)  (0) 2022.06.03
RUNWAY & TAXIWAY LIGHT  (0) 2022.06.01
APPROACH CATEGORY 및 CIRCLING APPROACH  (0) 2022.05.18

[별표 17] 항공기에 실어야 할 연료와 오일의 양(제119조 관련)(항공안전법 시행규칙) (2).pdf
0.12MB

법정연료

 

  • 법정연료는  항공기에  실어야 할 연료와 오일의 양을 법적으로 규정한 것이다.
  • 법정연료를 나누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항공운송 사업용 항공기가 계기비행으로 교체비행장이 요구되는 경우( 왕복엔진 과 제트엔진으로 다시 세분화 ) 

2. 항공운송 사업용 항공기가 계기비행으로 교체비행장이 필요 없는 경우( 왕복엔진 과 제트엔진으로 다시 세분화 )

3. 항공운송 사업용 항공기가 시계비행인 경우

4. 항공운송 사업용 항공기가 아닌 항공기가 계기비행으로 교체비행장이 요구되는 경우

5. 항공운송 사업용 항공기가 아닌 항공기가 계기비행으로 교체비행장이 필요 없는 경우

6. 항공운송 사업용 항공기가 아닌 항공기가 시계비행인 경우

 

* 항공운송 사업용 항공기가 목적지 교체비행장을 선정해야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IFR 방식으로 비행하는 경우 모든 운송용항공기는 목적지 교체 비행장을 선정해야한다.

예외는

1.  기상상태가 ETA +- 2시간 VFR인 경우, 접근 최저치보다 실링 1,000ft 이상, 시정 4,000m 이상 혹은 시정 5500m 이상

( 대신 추가로 ISA조건 공항 상공 1,500ft 에서 15분 비행 가능한 연료 )

2. 외딴 공항인 경우. ( 순항연료 소모율로 2시간 가능한 연료 추가 )

 

* 항공운송 사업용 외의 항공기가 목적지 교체 비행장을 선정해야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IFR 방식인 GA 항공기는 1개 이상의 목적지 교체 비행장 선정 해야 한다. 

선정이 필요치 않는 경우는

1. ETA 시간에 도착공항 기상이 VFR ( 대신 추가로 ISA조건 공항1,500ft상공 15분 비행 가능한 연료 )

2. 외딴 공항인 경우.  (  순항속도로 2시간 더 비행 가능한 추가 연료량 ) 

선정이 필요치 않는 경우에 세부적으로 사항이 붙는다. 

1. 공항에 IAP 수립되어 있어야 한다.

2. ETA + - 2 시간 사이에 ceiling 이 미니멈 보다 1000ft 이상 

3. visibility 가 5500m 이상 혹은 최저치 보다 4000m 이상 인 경우 가 아니라면 출항 할 수 없다. 

 

 

1. 항공운송 사업용 항공기 

 

계기비행으로 교체비행장이 요구되는 경우

 

왕복엔진

1. taxi fuel

이륙 전에 소모 예상되는 연료 량

 

2. trip fuel

이륙부터 최초 착륙예정 비행장에 착륙때 까지 필요한 연료 량

 

3. contingency fuel 

이상상태 발생 시 연료소모가 증가할 것에 대비하기 위한 연료 량 , trip fuel의  10% 5% 3%

 

4. destination alternate fuel 

1개의 교체비행장이 요구되는 경우1번의 missed approach를 위한 연료 량 + 교체비행장 까지의 연료 량

2개이상의 교체비행장이 요구되는 경우엔 각각의 교체비행장에서 사용되어질  1번의 missed approach를 위한 연료 량 + 교체비행장 까지의 연료 량 중 가장 많은 양

 

5. final reserve fuel

교체비행장에 도착시 예상되는 항공기 중량에서 순항속도 및 순항고도로 45분간 더 비행가능한 연료 량

 

 

6. 운항기술기준에서 정한 추가 연료의 양

 

터빈엔진

1. taxi fuel ( 이륙 전에 소모 예상되는 연료 량 )

2. trip fuel ( 이륙부터 최초 착륙예정 비행장에 착륙때 까지 필요한 연료 량 )

3. contingency fuel( 이상상태 발생 시 연료소모가 증가할 것에 대비하기 위한 연료 량 , trip fuel의  10% 5% 3% )

4. destination alternate fuel ( missed approach 연료도 포함한다. ) 

1개의 교체비행장이 요구되는 경우 1번의 missed approach를 위한 연료 량 + 교체비행장 까지의 연료 량

2개이상의 교체비행장이 요구되는 경우엔 각각의 교체비행장에서 사용되어질  1번의 missed approach를 위한 연료 량 + 교체비행장 까지의 연료 량 중 가장 많은 양

5. final reserve fuel

교체비행장에 도착 시 예상되는 항공기 중량 상태에서 ISA 기준 공항 1500FT 상공에서 30분간 더 비행가능한 연료 량.

6. 운항기술 기준에서 정한 추가 연료의 양

 

* 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가 교체비행장이 필요한 경우에 왕복엔진과 터빈엔진의 차이는

final  reserve fuel인 1,500ft 상공 터빈 30분 왕복 순항고도 순항속도 45분 차이가 있다.

 

 

 

 

계기비행으로 교체비행장이 필요없는 경우

 

왕복엔진

1. taxi fuel 

2. trip fuel

3. contingency fuel

4. destination alternate fuel

 가 ) 기상상태가 좋아서(ETA + - 2시간 , 씰링 접근 최저치보다 1000FT이상, 시정 5500M이상 혹은 접근최저치보다 시정 4000M이상) 교체비행장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ISA 조건에서 공항 1500FT 상공 으로 15분 더 비행 가능한 연료 량 

혹은

나 ) 고립된 공항으로 교체비행장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1. final reserve fuel + 순항속도로 45분 추가 연료량 + 계획된 비행시간의 15%의  연료 량을 모두 더한 연료량

2.  순항속도로 2시간 더 비행가능한 연료 량

나)의 경우 1 2 중 적은 연료량 

 

가 & 나 중 조건에 따라 필요한 연료량을 추가 하여야 한다.

 

5. final reserve fuel

최초 착륙 예정 비행장 도착 시 예상되는 항공기 중량으로 순항속도 , 순항고도로 45분간 더 비행 가능한 연료 량 

혹은

destination alterante fuel의 나 ) 의 연료를 실은 경우 final reserve fuel 을 대체 가능 하다.

 

6. 운항기술 기준에서 정한 추가 연료의 양

 

 

터빈엔진

1. taxi fuel

2. trip fuel

3. contingency fuel

4. destination alternate fuel 

가 ) 기상상태가 좋아서 교체비행장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ISA 조건 공항 1500FT 상공에서 15분 더 비행 가능한 연료량

혹은

나 ) 고립된 공항인 경우, final reserve fuel + 최초 작륙예정 비행장 상공에서 순항연료소모율로 2시간 더 비행 가능한 연료 량

 가 & 나 중 조건에 따라 필요한 연료량을 추가하여야 한다.

 

5. final reserve fuel

최초 착륙 예정 비행장 도착 시 예상되는 항공기 중량으로 1500FT 상공에서 30분간 비행 가능한 연료량

혹은

destination alternate fuel의 나) 의 연료를 실은 경우 final reserve fuel을 대체 가능 하다

 

6. 운항기술 기준에서 정한 추가 연료의 양

 

 

 

시계비행인 경우

최초 착륙예정 비행장까지 필요한 연료량  + 순항속도로 45분간 더 비행할 수 있는 연료량 을 탑재하여야 한다.

 

 

 

 

 

2. 항공운송 사업용 항공기 외의 항공기

 

항공운송사업용 외의 항공기는 왕복엔진 터빈엔진의 구분이 없다.

 

계기비행으로 교체비행장이 요구되는 경우

 

1. trip fuel + 2.교체비행장으로 비행을 마친 후 순항고도로 45분간 더 비행 가능한 연료 량

 

계기비행으로 교체비행장이 필요없는 경우

 

1. tri fuel + 2. 순항고도로 45분간 더 비행 가능한 연료 량

 

주간 시계비행

1. trip fuel + 2. 순항고도로 30분간 더 비행 가능한 연료 량

 

야간 시계비행

1. trip fuel + 2. 순항고도로 45분간 더 비행 가능한 연료 량

 

 

* reserve fuel 이란 leagal reserve fuel + company reserve fuel 의 연료

* legal reserve fuel( 법정예비연료 ) 이란 법정 연료에서 trip fuel을 제외한 contingency fuel & destination alternate fuel & final reserve fuel 을 합친 연료

 

* company reserve fuel 이란 다음과 같다.

1. pad fuel 

re-file plan이 적용되는 구간에서 re-file point 부터 목적지 공항까지의 법정연료량 부족으로 탑재하는 연료

2. tankering fuel 

공항간 연료 가격의 차이로 인해 출발공항에서 탑재하는 추가 연료

3. UUF ( uncounted usable fuel )

cg를 위한 연료 ( ballast fuel이라고도 한다 )

 

 

* extra fuel( discretionary fuel )이란 contingency fuel이 부족하다고 판단 할 때 추가하는 연료. 운항관리사나 기장의 재량에 따라 추가 하는 연료

 

 

 

minimum takeoff fuel 은 

1. trip fuel

2. destination alternate fuel

3. contingency fuel

4. additional fuel

5. final reserve fuel 

 

planned takeoff fuel 은 

위의 5가지 +  1. discretionary fuel  2. CCF 3. tankering fuel 

 

discretionary fuel 은 , PIC 혹은 DISPATCH 가 지연을 고려하여 추가하는 연료 

CCF 란, company contingency fuel ( company compensation fuel ) 의 약자로 , 기종별 연료소모 데이터를 통해 반복적으로 추가 사용되는 연료를  위해 탑재하는 연료.

 

ramp out fuel 은

위의 5가지 + 위의 3가지 + taxi fuel 이다.

 

NOTAM 

NOTAM

 

  • NOTAM이란 notice to airmen의 약자로 , 임시적인 항공관련 정보 혹은 차트나 간행물에 포함될 시간이 충분치 않은경우에 조종사가 필수적으로 적시에 알고 있어야 할 정보를 발부하는 것이다. 
  • NOTAM은 NAVAID 관련 정보 , 공항의 대한 관련 정보 , IAP의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 NOTAM의 종류는 5가지로 다음과 같다.

1. NOTAM D 

NAVAIDAIRPORT , ILS 시설 , LIGHT 시설 등 공항관련 혹은 NAVAID 관련 계기접근기준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보를 제공한다.

 

2. FDC NOTAM

FLIGHT DATA CENTER에서 제공하는 정보로 ,

1. INSTRUMENT APPROACH PROCEDURE 관련 정보 

2. TFR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이 정보는 법적으로 규제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계기접근에 영향을 주는 정보를 포함 한다.

 

3. POINTER NOTAM

불필요한 정보들을 뺀 NOTAM D , FDC NOTAM 인 두 노탐을 요약하여 수록한다. 

 

4. MILITARY NOTAM

군 공항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5. SAA NOTAM

sperical activity airspace NOTAM의 약자로 , 특별활동 시간 혹은 예고된 특수활동시간 이외에 특수활동이 진행 될경우 정보를 제공한다.

 

* WIP : work in progress   작업중

* WEF : with effect from     from 부터 유효

* WIE : with immediate effect   즉시 유효 

 

* notam broadcast는 hourly 이루어 진다. weather broadcast와 함께 방송한다. 

 

NTAP ( notices to airmen publication )

NTAP 은 매 28일 말다 발행된다. NOTAM D 의 정보를 포함한다. MEA 고도의 정보를 포함한다. 국제 NOTAM을 포함한다. graphic notices를 포함한다. pointer notam , fdc notam은 포함하지 않는다.


한국 ICAO 항공고시보

 

  • 항공고시보NOTAM의 한국버젼이다.
  • 항공고시보는 3개월 이상 유효해서는 안된다. 3개월 이상 유효가 예상되는 경우 항공정보간행물 보충판 ( AIP SUP )으로 발간한다.
  • 군작전 관련 NOTAM 은 최소 3일 전에 고지해야 한다.
  • NOTAM은 최대 3개월 유효하다. 
  • SNOWTAM은 최대 24시간 유효하다.
  • 항공고시보는 최소 7일 이전에 공고되어야 한다. 훈련목적의 TFR은 최소한 3일 이전에 공고하여야한다.
  •  항공고시보의 종류는 A- Z로 다음과 같다.

 

1. A  -  국제공항에 관한 NAVIAID 및 ATC 정보

2. C -  국내공항에 관한 NAVAID 및 ATC 정보

3. D -  TFR 이외의 공역에 관한 정보

4. E - TFR에 관한 정보

5. G - GPS 수신기 RAIM에 관한 정보

6. Z - A ~ G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 불꽃 , 미사일 등의 관한 정보

 

 

 

 

 

AIP

AIP ( aeronautical information publication )

AIP란 항공항행에 필수적이고 영구적인 성격의 항공정보를 수록한 항공정보 간행물이다.

  • AIP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AIP GEN  항공정보 간행물 일반사항 aip general

2. AIP ENR 항공정보 간행물 항공로 사항 aip enroute

3. AIP AD 항공정보 간행물 비행장 사항 aip aerodrome

4. AIP AMDT 항공정보 간행물 수정사항 aip amendment * 이 수정판은 28일 주기로 발간하는 정기수정판과 AIRAC으로 구분한다. 영구적인 변경사항을 수록한다.

5. AIP SUP 항공정보 간행물 보충 사항 aip supplement * 이 보충판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변경사항에 대해 발간한다. 일시적인 변경사항을 수록한다.

 

* 전자형태는 AIS 이다. ( 국토교통부 항공정보 서비스 )

 

 

 

AIRAC( Aeronautical Information Regulation and Control )

항공정보관리절차 로 , 많은 항공정보를 통제하고 관리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이다.

  • 이 AIRAC은 ICAO ANNEX 15 ( AIS ) 에 기반한다.
  • 이 AIRAC 시스템의 목적은 최소 42일 전에 AIS로 정보들 전파하고 , 사용자들에게 유효날짜 28일 전에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ICAO 의 회원국들 에게 공통된 유효날짜를 기준하여 통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 28일마다 발효일자를 정해 전세계에 공통되게 발효한다.

 

 

AIC ( aeronautical information circular ) 

AIC란 항공고시보 또는 항공정보 간행물로 전파되는 않는 정보를 수록한 공고문이다.

MAC( mean aerodynamic chord )

mean aerodynamic chord
  • MAC이란 swept tapered wing 항공기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테이퍼드 후퇴익의 평균코드라인을 구하여 앞전을 0%로 , 뒷전을 100%로 퍼센테지화 한 것이다.
  • LEMAC 이란 leading edge mean aerodynamic chord , TEMAC 이란 trailing edge mean aerodynamic chord
  • 이 MAC의 수립목적은 다음과 같다.

날개형상이 테이퍼드 후퇴익이기 때문에 날개의 CG위치를 표현하기 어려워 이론상의 목적으로 날개의 CG를 표기하기 위해 수립한 기준이다.
wing root 의 chord line 과 wing tip의 chord line이 다르기 때문에 날개 뿌리부터 날개 끝까지의 코드라인의 평균을 수립하여 앞전에서부터 %로 표현한다.

CG % MAC 은 ARM값 - LEMAC ÷ MAC 으로 %화 한다.

DATUM LINE

datum line이란 CG측정을 위한 거리측정 기준선을 말한다. 모든 거리를 양수로 만들기 위해 , 보통 항공기 기수보다 전방에 설정한다.

STATION NUMBER

datum line 으로부터 기체의 특정 부분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arm 이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MOMENT

모멘트란 어느 지점에 작용하는 힘을 이야기 한다. MOMENT = ARM X WEIGHT이고 ,
항공기 각 각의 MOMENT의 합을 항공기 총중량으로 나누면 DATUM LINE으로부터 CG의 위치가 나온다.




IU ( index unit )

IU는 대형 항공기의 W&B 계산을 위해 숫자단위를 간소화 하기위한 것이다.

STALL STRIP

 

STALL STRIP

  • STALL STRIP은 항공기 wing root쪽에 설치하여 항공기 실속이 wing root 부터 발생하게 만든다.
  • 실속이 wing root 부터 발생함으로써 aileron에 실속이 영향을 끼치지 않게끔 한다.
  • stall strip이 실속을 먼저 발생시키는 기전은 다음과 같다.

1. airflow는 항공기 leading edge에서 아래쪽과 위쪽으로 나뉘어 흐른다. airflow가 분리되는 지점은 stagnant point라고 한다.

2. 받음각이 높아짐에 따라 stagnant point는 lower wing 쪽으로 바뀌게 된다.

3. 받음각이 높을 떄 stall strip이 upper wing 쪽으로 흐르는 공기를 interference하여 , critical AOA 이전에 실속이 발생하도록 만든다. 위 그림과 같이 critical AOA 이전에 실속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 wing washout 또한 wing root가 먼저 실속에 빠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 실속에 빠지기 전 airflow separation으로 인한 조종간에 buffet 현상을 부여해 stall 안정성에도 기여한다.

 

stall strip & stall warning horn

  • stall strip 아래에 stall warning horn을 설치해 실속에 빠지기 전 warning을 제공한다.
  • stall warning devicerelative wind를 감지한다. 받음각을 감지하지 않는다.

DORSAL FIN

dorsal fin

  • dorsal fin은 수직안정판에 부착된 형태로 존재한다.
  • dorsal fin directional stability를 좋게한다
  • dorsal finvertical stabilizer의 stall을 방지한다.
  • dorsal finrudder lock & rudder reversal 을 예방한다.
  • rudder lock 이란 rudder가 full deflection 되었을 때 , vertical stabilizer에 스톨이 발생하면rudder가 full deflection 상태에 고정된 현상을 이야기 한다.
  • dorsal finsideslip의 최대 각도를 증대시켜 , 조종성안정성에 기여한다.
  • dorsal fin vertical stabilizer에 부착되어 유선형이 되므로 , 항력을 감소시키고 , vertical stabilizer의 구조적 강도를 좋게 한다.

 

 


ELEVON

ELEVON

 

델타윙 항공기에 장착되는 ELEVON

 

  • 엘러본이란 엘레베이터와 에일러론이 결합된 형태로 , 델타윙 항공기 전투기에 많이 사용되어진다.
  • 1. 엘레베이터와 에일러론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때 ,  엘레베이터와 같은 역할을 한다.
  • 2. 엘러본이 각자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때 , 에일러론과 같은 역할을 한다. 올라가는 엘러본 쪽으로 rolling 하게된다.
  • 3. 델타윙 항공기에 엘레베이터와 에일러론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구조적 이점이 있다.

 

 

 


RUDDERVATOR

 

RUDDERVATOR

 

 V-tail 항공기의 ruddervator

 

  • 1. 러더베이터는 러더와 엘레베이터가 결합된 형태로 , V-tail 항공기에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 같은방향으로 움직일 때 엘레베이터와 같은 역할을 한다.
  • 2. 러더베이터가 각자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때 , 내려간쪽 방향으로 rolling을 한다.
  • 3. dutch roll에 취약하다.
  • 4. 엔진 후류의 영향을 덜 받게된다.
  • 5. 유도항력의 감소 및 무게가 가벼워 진다.
  • 6. 스텔스기능이 강화된다.

FLAPERON

 

 

B787 FLAPERON

 

B-787의 flaperon

 

  • 1. 플래퍼론이란 에일러론과 플랩이 결합된 형태로 , 양쪽 플래퍼론이 같은 방향일 때 플랩과 같은 역할을 한다.
  • 2. 양쪽 플래퍼론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때 , 에일러론과 같은 역할을 한다.
  • 3. adverse yaw를 방지한다. 

 


CANARD

CANARD WING

 

카나드 윙

 

  • 카나드 윙은 horizontal stabilizer가 없는 항공기에 수평안정판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 이것은 항공기 날개와 마찬가지로 양력을 만들어 낸다.
  • 추가적인 양력을 만들어 실속을 방지한다. 
  • longitudinal stability를 좋게 한다.
  • 카나드 윙이 먼저 STALL에 진입함으로써 NOSE DOWN을 통해 스톨에 안정성을 부여한다.
  • 카나드 윙을 장착한 항공기는 주익을 크게 만들어야 한다. 만약 주익이 먼저 스톨에 걸려 실속하게 되면 recover는 불가능하다.
  • 크게 만든 주익은 무게와 항력이 추가된다.
  • 돌풍이 불때 , 컨벤셔널 항공기는 순간적으로 nose up이 되어도 , horizontal stabilizer의 tail down force가 감소하여 원래의 수평상태로 돌아오려는 경향성을 가진다.
  • 돌풍이 불때 , 카나드 항공기는 순간적으로 nose up이 되면 , 계속해서 nose up을 가속시키려고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익보다 단위면적당 양력을 더 많이 만들어내게 만든다. 이것은 받음각에 증가에 따른 양력의 증가를 주익보다 적게 한다. high aspect ratio를 채택하여 카나드에 적용하기도 한다.
  • 그리하여 구조적으로 제작이 어렵다.

RISK MANAGEMENT

지난 30년간 항공사고의 85%는 PILOT ERROR에 의해 발생되었다.
항공사고의 위험을 줄이려는 목적으로 ADM을 위한 과정중 RISK MANAGEMENT를 수립하였다.
“Risk management. The identification, analysis and elimination (and/or mitigation to an acceptable or tolerable level) of those hazards, as well as the subsequent risks, that threaten the viability of an organisation.” (ICAO Doc 9859).
즉 , 적절한 ADM을 위한 위험관리기술을 수립한 것.

RISK MANAGEMENT는 다음의 3가지에 의존한다.

1. SA 2. PROBLEM RECOGNITION 3. GOOD JUDGEMENT

  • risk management의 단계별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identify


위험을 위험으로 인지하여야 한다. 즉 , 위험한 상황에 대한 판단을 필요로 하며 , 방법은 PAVE로 다음과 같다.


P pic
imsafe 체크리스트로 수행한다.

I illness
M medication
S stress
A alcohol
F fatigue
E emotion

A aircraft
항공기 감항성 및 비행종류에 따른 요구장비 , recency , 연료 , 제한하중 , 제한연료 등 비행에 있어 항공기에 관한 모든 사항을 점검해야 한다.

V environment
날씨 , 지형 , 공항 , 공역 , 낮비행 , 밤비행 등 비행환경에 관한 사항들을 점검하여야 한다.

E external pressure
외부압력에 따라 안전에 위해되는 요소가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오래못본 여자친구를 보러가는 비행 , 체크비행시 잘하려고 하는 압박감 등 이러한 요소를 점검한다.


2. analysis
위험을 평가한다. risk matrix를 이용한다. risk matrix는 위험한 event의 가능성 & 결과에 대해 평가하는 툴이다.

risk matrix

3. mitigate
best course of action 이 무엇인지 결정하고 수행하여 위험을 경감시킨다. ( mitigate )

*위와 같은 risk management의 identify , analysis , determine 은 ADM 모델의 3P로도 적용 및 수행 가능하다.


ADM ( AERONAUTICAL DECISION MAKING )

ADM

ADM이란 항공에서의 의사결정을 말하는 것으로 , 시간이 제한되어 있는 주어진 상황에서 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하기위해 이루어지는 시스템적 접근 방식이다.


ADM의 시스템적 접근 방식은 2가지로 이루어 진다.


DECIDE MODEL & 3P MODEL

1. DECIDE 모델
D detect a change has occurred 발생한 변화를 감지한다.
E estimate the need to counter or react 발생한 변화에 대한 반응이 필요한지 예상한다.
C choose the desired outcome 필요한 outcome을 선택한다.
I identify actions to control the change 변화를 컨트롤할 행동을 수립한다.
D do the action 수행한다.
E evaluate the success of the action 수행의 결과를 평가한다.

2. 3P 모델
P perceive the given set of circumstaces for a flight (PAVE)
주어진 상황에 대한 인식이 정확하게 되어야 한다.

P processes by evaluating the impact of those circumstances on flight safety ( CARE )
비행안전의 영향을 주는 사항들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P performs by implementing the best course of action (TEAM )
best course of action을 통해 수행한다.

ADM의 영향을 주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hazardous attitude ( 5가지 )
2. stress ( 스트레스의 3종류와 단기 장기 스트레스 )
3. use of resource ( 내부자원 & 외부자원 )
4. workload management ( 우선순위에 따른 업무 처리 )



SRM( SINGLE RESOURCE MANAGEMENT )

SRM is about how to gather information, analyze it, and make
decisions
SRM 이란 어떻게 정보를 수집하고 , 그 정보를 평가하고 , ADM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다.

  • SRM을 위한 스킬은 다음과 같다.

1. ADM ( aeronautical decision making )
2. RM ( risk management )
3. TM ( task management )
4. AM ( automation management )
5. SA ( situational management )
6. CFIT ( 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

  • SRM을 위한 기술적 접근은 5P로 수행한다.

PLAN
계획은 여러 고려사항을 고려하여야한다. flight plan 뿐만이 아니라 날씨 , 루트 , 연료 등 계획의 변동사항까지도 점검한다.
PLANE
항공기의 모든 장비 및 오토메이션 , ADS-B 등 시스템이 정상인지 확인한다.
PILOT
조종사의 점검은 스스로 위의 RISK MANAGEMENT에서 말한 IMSAFE 방법을 통해 점검한다.
PASSENGERS
CRM 과 SRM의 가장 큰 차이점은 승객과의 상호작용이다. 즉 , workload가 큰 상황에 승객이 checklist를 읽어주거나 , 랜딩기어 플랩이 정상위치에 놓여 있는지 확인하거나 하는 작업등을 도와줄 수 있다. 일정수준의 비행 참여가 가능하다.
PROGRAMMING
GPS 등 프로그램 장비를 점검및 숙지한다. gps cabability 나 raim을 확인 하거나 한다. 이러한 automation system 들은 조종사의 workload를 확연히 줄여주지만 SA의 부족이 단점이다.



de-icing & anti-icing

  • 항공기 airfoil surface에 icing이 생기면 lift는 30%감소 , drag는 40% 증가한다. (sand paper icing condition 일때 )
  • ICING은 supercooled water ( 과냉각수 ) , moisture air 조건에서 착빙현상이 발생한다.
  • 순수한 물일 수록 0도 이하에서 과냉각수가 되는데  , 이 과냉각수가 항공기 표면에 충돌했을 때 착빙으로 변화한다.
  • ICING의 축적을 점검할 때, 특히 clear icing은 unvisable 하기때문에 flashlight를 사용하여 반사되는 빛으로 점검해야 한다.
  • ICING 의 종류structure icing , induction icing , instrument icing으로 구분되며 다음과 같다.

1. structure icing

structure icing에는 clear icing , rime icing , mixed icing 이 있다.

clear icing은 투명하여 인지하기 어렵고 , 제거가 어렵다. 0-10도 외기온도에 잘 형성된다.

rime icing은 거칠고 불투명한 착빙현상이다. - 10 ~ - 20 도 

mixed icing은 clear icing 과 rime icing이 혼합된 형태로 , 매우 거칠게 축적된다. - 10 ~ - 15도

 

2. induction icing

induction icing 에는 carburetor icing , engine intake icing 이 있다.

caburetor icing은 caburetor의 벤츄리 효과로 인해 온도가 낮아져 발생하는 icing이다.

( 상대습도 50% , 38도 이하에서 발생 가능하며 , 상대습도 80% , 21도 이하에서 위험하다 ) 

intake icing은 엔진 intake의 공기 흡입구에서 발생하는 icing 이다.

 

3. instrument icing

instrument icing은 pitot-static port & a/c antenna 등에서 발생하는 착빙현상이다.

 

* 착빙현상의 강도 trace , light , moderate , severe 로 구분한다.

* trace는 1시간이상 비행해도 de-icing 이 필요하지 않는 정도

trace : ice become perceptible ( ice가 인지가능한 정도 )

 

* light1시간의 비행일경우 문제가 발생할수 있으며 , de-icing이 종종 필요한 정도

light: the rate of accumulation may create a problem if flight is prolonged ( 비행이 지연되면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는 정도 )

 

* moderatede-icing anti-icing이 필요하며 회항이 필요한 정도이다.

moderate : the rate of accumulation is such that even short encounters become potentially hazardous and use of deicing/anti-icing equipment or flight diversion is necessary ( 짧은시간 경험해도 잠재적인 위험을 제공하는 정도, 혹은 디아이싱 / 안티아이싱장비가 필요하거나 다이버트가 요구되는 정도 )

 

* severe는 de-icing anti-icing으로 해결되지 않으며 , 즉시 해당 지역을 벗어나야 하는 정도

severe : the rate of accumulation is such that deicing/anti-icing equipment fails to reduce or control the hazard . immediate flight diversion is necessary ( 디아이싱/ 안티아이싱 장비가 소용없고 , 컨트롤이 안되는 정도. 다이버트가 즉시 필요한 정도 ) 

 

* FROST

frost는 서리로 , 맑고 안정된 대기에서 약한 바람이 있을 떄 잘 형성된다. ( clear stable air , light wind ) 

서리는 stall speed를 5-10% 증가시키고, lift off 를 지연시킨다.

 

  • airfoil 표면에 icing이 발생하여 양력이 감소 & 항력이 증가하는 기전은 다음과 같다.

1. airfoil 표면에 icing이 형성되어 표면이 거칠어진다.

2. 거칠어진 표면은 drag를 증가시킨다.

3. 거칠어진 표면으로 인해 공기의 흐름이 느려지고 , 이에 따라 airflow separation이 앞당겨진다.

4. airflow separation으로 인해 항공기의 lift는 감소한다.

* surface roughness로 인해 critical AOA가 낮아지고 , stall speed는 증가한다. 

 

on ground 에서 de-icing & anti-icing은 다음과 같다.

 

1. FPD ( freezing point depressant )를 항공기 동체에 뿌린다. FPD 용액은 어는점을 낮춰 얼음을 녹이는 역할을 한다.

* FPD 용액의 잔여물이 엔진에 흡입되면 performance가 낮아져 compressor stall & surge를 유발한다.

* ICING은 FPD를 천천히 흡수하면서 녹는다.

* FPD의 성분 중 하나인 diluting ethylene glycol fluid를 사용한다. 

 

3. 이러한 제빙액은 ADF AAF 등으로 불리운다. ( aircraft de-icing fluid , aircraft anti-icing fluid )

 

 

 

 

anti-icing &de-icing fluid

  • 제빙액의 종류는 4종류로 다음과 같다.

1. TYPE I ( glycol 80% )

타입 1 제빙액은 주황색이다.  점도가 낮아 빠르게 항공기 표면에서 흘러내린다. 고온고압으로 분무한다. 

 

2. TYPE II ( glycol 50% )

타입 2 제빙액은 투명한색이다. 점도가 어느정도 있다. 이륙할 때 까지 제빙 및 방빙을 제공한다. 100kt까지 표면에 달라붙어 있다.

 

3. TYPE III

타입 3 제빙액은  밝은 노란색이다. 유형 1과 유형 2 사이의 기능을 한다. 즉, 저속비행 항공기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4. TYPE IV

타입 4 제빙액은 녹색이다. 유형 2의 목적으로 더욱 긴 HOT을 제공한다.

 

* 보통의 제빙 & 방빙 과정은  heated TYPE 1 용액으로 초기 제빙 후 , 결빙 방지를 위해 TYPE 2 3 4 용액을 제 분무하는 방식인 2-STEP PROCESS로 진행된다. 

* 2-step process 에서 2번째 작업에 heated fluid를 도포하면 HOT이 줄어든다 . 반드시 1번째 작업에 heated fluid를 도포

 

 

TKS

 

* TKS FLUID ( tecalemit kilforst sheepbridge stones )

TKS 용액은 소형 항공기에서 사용된다 . 자동차 워셔액과 같이 항공기 내에 reservoir에서 펌프를 이용해 분무되는 형태의 제빙 방빙 장치이다. 

 

 

holdover time

 

* HOT ( holdover time ) 은 제빙 & 방빙 용액의 유효시간을 나타내는 것이다. 제빙 & 방빙 후 HOT 시간동안 이륙하지 못하면 다시 제빙 & 방빙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 two step process 의 hot 시작 시간은 두번째 용액을 분무하는 시점부터 HOT 이 시작한다.

* one step process의 hot 시작 시간은 조업 시작 시 HOT가 시작한다

* ONE STEP PROCESS 는 TWO STEP PROCESS에 비해 많은 용액을 소모한다.

* 인천공항에서는 TWO STEP PROCESS 만을 적용한다.

 

 

IN FLIGHT 에서 제빙&방빙은 3가지의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electric de-icing on the prop

1. electric

 항공기 프로펠러 & cockpit window의 열선을 설치해 이용한다.

bleed air

2. bleed air  

엔진 혹은 apu bleed air를 이용하여 leading edge에 뜨거운 열을 공급하여 이용한다.

 

neumatic boots

3. neumatic system

공기압을 이용하여 leading edge에 rubber boots를 통해 이용한다.

neymatic boots 를 이용할 떄에는 icing이 생기자마자 사용하여야 한다. 항공기 속도가 느려지고 , 온도가 내려갈 수록 축적이 많이된다. 

 

 

 

HYDROPLANING

dynamic & reverted rubber & viscous hydroplaning

  • 수막현상3종류로 다음과 같다.

1. dynamic hydroplaning

 

8.73 X √tire PSI ground speed 속도 이상에서 부터 발생하는 수막현상으로 , 원인은 빠른 속도로 인해 항공기 바퀴가 땅에 접지하지 못하고 타이어가 수막에 의해 부양되기 때문이다.

예방하기 위해서

a. back pressure 혹은 aerodynamic brake를 이용해 타이어에 하중을 준다.

b. 타이어 공기압을 충분히 채워준다.

 

2. reverted rubber hydroplaning

항공기 타이어가 과도한 foot brake 사용으로 잠기면서 ,마찰열로 인해 녹아 steam이 발생하여 나타나는 수막현상이다.

예방하기 위해서

a. foot brake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는다. 

b. aerodynamic brake를 최대한 사용한다.

 

* 자동차의 ABS 시스템이 이 타이어 lock up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운용된다.

 

3. viscous hydroplaning

유체의 점성에 의해 발생하는 수막현상으로 , 육안 식별이 불가능한 매우 얇은 물 혹은 기름층에 의해 발생한다.

wet runway가 아닌 활주로에서 발생하므로 , 위험하다.

예방하기 위해서 

a. aerodynamic brake를 최대한 사용한다.

 

* 수막현상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선 aerodynamic brake를 최대한 사용하며 , aerodynamic brake는 touch down speed의 60~70%까지가 효과적이며 , 이 이후엔 foot brake를 통해 감속을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