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he most important things are 1S 2C
Slowly , concisely , clearly

COMMUNICATION LOOP: atc clearance - pilot readback - atc hearback

ATC BASIC
on ground 에서 기본 구조 :
너/나with heavy , super/position/요구사항
airborned에서 기본 구조 : 너/나 with heavy , super / 고도 or 상승 하강시 지나는 고도 and 목표고도 . 속도는 assigned 받은 경우만 .
BASIC OF ATC IRREGULAR
1. Where am i
2. Where am i heading to
3. What is the next
4. Verify whenever in doubt

CONDITIONAL CLEARANCE

  • Case study : kal 000 , behind b747 on short final , line up runway 27 , behind
  • Take off 라는 ATC 용어 사용은 단 2가지 경우에만 사용 Cleared for take off / cancel take off clearance 나머진 departure or airborn 이라는 용어로 대체 . 이유는 irr 발생 요인을 줄이기 위함.
  • ICAO에서 많이 사용 .
  • 구조 -  call sign + condition + clearance + reiteration of the condition
  • UK의 경우 reiteration of the condition이 빠져 있어도 conditional clearance 로 사용 .


CLEARANCE AWARENESS

  • 2 PILOT이 동일한 clearance 인식을 한 상태 일치가 된 상태.
  • CLEARANCE AWARENESS PROCESS는 다음과 같다
  • 1. ATC instruction - 2.clearance awareness - 3.captain`s taxi briefing - 4.FO agreement - 5.taxing





이니셜 컨택시 차트 주파수에 이름 명시 되어 있지 않으면 , 앞에 명시된 이름 인용할것. 아래 참조

김포 apron / 김포 ground / 김포 tower /










비행 단계별 ATC 고려사항
CLEARANCE

  • FAA clearance 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call sign 2. Clearance limit 3. Dp 4. Route 5. Altitude ( initial and final or top ) / FAA 에서 expect altitude는 two way radio fail 시 사용가능 한 고도
  • clearance void time 이란 clearance 가 취소되는 시간 void time 이후로는 clearance 무효함 .
  • ICAO clearance 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a/c id 2. Clearance limit 3. Sid  4. Initial level altitude
  • Lost comm 절차는 chart에 기입 되어 있음. 없다면 standard lost comm 절차를 따라 항행할것.




  PUSH BACK

  • push back instruction case stiudy : ke 002 , push back approved , 1. Tail east 2. Face toward north , 3. Make long push back , 4. On blue




  TAXI

  • 지상 활주시 의심스러운 상황 조우시 , 1. STOP 2. VERIFY
  • Rwy 까지 taxi instruction recieve 시 * active rwy or closed rwy 등 상관 없이 활주로 cross 는 무조건 instruction을 받아야함 . hold short of rwy00 / cross rwy 00 . 지시를 못받은 경우 confirm or verify cross rwy 00
  • Taxi instructuion은 taxiway 그 어느 무엇도 생략해선 안됨. ATC가 생략한 경우 verify 하고 진행 할것 .
  • Case study : ke 002 runway 35 , taxi via A and B hold short of rwy 17 발부 받으면 , taxi to rwy 35 via A and B holding short of rwy 17 ke 002 라고 리드백 ( hold short -> 리드백은 holding short )
  • FAA는 back taxi 사용 / ICAO는 back track 용어 사용
  • FAA는 line up and wait rwy 00/ ICAO는 line up rwy 00


TAKE OFF

  • Ke 002 line up and wait rwy 35 받으면 , 리드백은 lining up ke 002 ( line up and wait -> 리드백 lining up )
  • 구조는 rwy + cleared + rwy 00
  • Case study : ke 002 be ready for immediate departure  ( 즉시 이륙 준비가 되도록 해라는 의미 )
  • Canellation take off clearance 는 ke002 cnacel takeoff clearance + reason / take off roll 도중 이륙취소상황 -  ke 002 stop immediately

DEPARTURE

  • ATC report 시 climbing or climb to FL 000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지 근거 확인
  • departure 컨택시 sid 부여 받으면 sid도 같이 report .
  • Case study : seoul departure ke001 passing 1,500ft gukdo 2 dp climbing 12 thousand .
  • top altitude 는 maintain FL000 이라고 ATC를 부여 ( case study : climb via SID , except maintain FL 000
  • FAA case study : ke002, cleared to rksi , hudad 1 dp , climb via SID , expect FL220 after 10 min or climb via SID except maintain 8,000ft / expect 의 경우 radio fail 시 사용하는 고도 이며 , except maintain 8,000ft의 경우 SID를 준수하지만 최종고도는 8,000ft 로 변경됨을 고지한것 . CLIMB VIA 000SID 라는 ATC 용어는 FAA에서만 사용한다. 대한민국에서는 climb via sid 사용하지 않음.
  • ICAO study case : ke123 , cleared to jfk , off 33L , via SEL 1 S dp , G597 , FL230 SQ 7175 , Dp freq 125.15 라고 지시 받은 경우 SEL 1 S dp  제한사항인 do not climb above 7,000ft unless cleared by ATC 를 지켜 , 7,000ft 까지 상승하며 , 중간의 고도 제한사항들을 다 지켜야 한다. * SID 에는 속도 고도에 관해 자체 제한사항이 있을수 있으므로 필히 확인할것
  • 속도 취소 ATC standard 용어는 FAA : delete speed restrictions ICAO : no speed restrictions
  • 고도 취소 ATC standard 용어는 ICAO : level restrictions canceled .
  • 김포 인천 제주 공항은 ICAO ATC를 사용. 나머지 공항은 FAA / case study : ICN departure 에서 climb and maintain FL 250 받으면 SID 에 나오는 고도제한 을 준수하며 top altitude를 FL250 으로 한다.  2. Gimhae departure에서 climb and maintain FL 250 받으면 FAA를 따르기 때문에 고도 제한사항 다 취소 되면 FL250으로 directly climb 한다.



ENROUTE

  • initial contact 시 , 너 / 나 + heavy or super / 고도 / 속도는 지시 받은 경우 / etc turb 등등
  • 라우 공항 가는 경우 cruise clearance는 ke 002 , atc cleared cruise FL 350 to KOROR /
  • Block altitude 지시는 ke002 maintain block FL 350 to FL 370
  • Ke002 , cross gukdo at FL 160 지시를 받으면 , descend 은 pilot descretion 으로 수행 가능함을 내포함.
  • 이전 제한 고도 제한사항에 새로 고도제한사항을 부여 받으면 , 최초 부여받은 고도 제한 사항은 취소된다. case study : ke 002 , cross gukdo at FL 160 -> ke 002 , cleared gukdo 1H arrival , descend to FL 150 받으면 , 마지막 지시 받은 고도제한 사항만 유효 . case study 2 : ke 002 , cross CJU at FL 330 -> ke 002 , descend now to FL 350 due to traffic 받으면 마지막 지시받은 FL350 즉시하강 지시만 유효함 .




DESCENT AND ARRIVAL

  • 강하는 atc 지시 받은 즉시 할것 ( pilot discretion 은 예외 )
  • 최소 500fpm 강하율로 하강할것 ( 불이행 혹은 불가시에 ACT 보고 )
  • 지시 받은 고도 이외의 고도에서 level off 는 불허 ( 필요시 10,000ft 속도 250kt 조건 유지를 위한 임시 레벨오프는 가능 )
  • pilot discretions 를 포함하는 ATC 지시는 다음과 같음
  • 1. cross fix at 000ft
  • 2. Descend to reach 000ft by 000 fix
  • 3.descend 000ft be leveled by 000 fix
  • 4. When ready descend to 000ft
  • ** pilot discretion 이란 1. 강하시점 2. 임시 level off 를 가능하게 한다.
  • case study : kal123 , cross cju at FL330  지시 받은 이후  kal 123, descend to FL 350 due to traffic 지시 받고 하강하면 , 마지막 지시받은 ATC 만 유효함. 이전 지시사항들은 canceled .

SPEED CONTROL ATC

  • Ke 002 , resume normal speed
  • Ke 002 , maintain maximum forward / minimum practical speed
  • Ke 002 , descend and maintain FL 150 transition speed 280 ( 일본 대양 통과시 ) *transition speed 란 the point at which the aircraft changes over from MACH number to IAS
  • 속도 지시를 받으면 +- 10kt , mach로 받으면 mach 0.02 가 허용치
  • FPL 상의 cruise 속도 보다 +- 5% , 10kt 이상 차이나면  advise ATC 해야함 .
  • initial contact  시 , 속도제한 사항을 이전 기관에서 부여 받았다면 , initial contact 시 보고해야한다 .


                

LATERAL DEVIATION

  • 만약 항로에서 10nm 벗어나 운항하는 걸 요청할 시 ,
  • control ke 002 , request offset 10nm right (left )of track 라고 request  할것
  • SLOP 절차 ( atc 권한 필요 하지 않고 pilot 재량으로 offset 항행하는 프로시져 , 1-2nm 가능 , 해양항로에서만 절차수행 가능 . ) strategic lateral offset procedure
  • Wx deviation 으로 요청하는 경우
  • Control ke 002 , request weather deviation upto 00nm right ( left ) of track
  • Control ke 002 , weather deviation required 라는 ATC는 PAN PAN - PAN PAN - PAN PAN 과 같은 의미

POSITION REPORT

  • 콜싸인 / 위치+시간 / 고도 / 다음포인트 + 다음포인트 ETA / etc
  • ETA 3분 초과시 보고하는 걸로 되어 있었지만 2분 초과시 보고로 변경

****STAR****

  • STAR CLEARANCE 3가지
  • Cleared ___ arrival ( 루트 / 속도는 STAR 따라서 하고 , 고도는 현고도 유지 . 강하 불가함 )
  • cleared for approach via _____ arrival ( 루트 / 속도 / 고도 모두 STAR 차트대로 . 어프로치까지 가능 )
  • desced via _____ arrival ( 모든 차트 상의 지시사항 준수하며 접근 )
  • descend via ____ arrival , except maintain 0000 ft ( except 고도 까지만 강하하며 ,  STAR 고도 제한 사항들을 준수하며 지시받은 except 유지 고도 까지 강하 ) ( bottom altitude가 변경되는 것임. 속도 루트는 star 준수 )
  • descend and maintain 0000ft / descend to 0000ft ( FAA: 차트무시하고 지시받은 고도로 하강 ICAO : 차트 고도제한사항 준수하며 지시받은 고도로 하강 )
  • 새로운 ICAO 형식 star clearance : kal 123 , descend via star to 3000ft ( 차트 지키면서 3000ft 까지 하강하라는 지시 임 ) / descend via star to 2000ft , cancel level restriction at BATON ( BATON에서의 고도 제한사항 만 only 취소되는것임 ) / descend via star to 2000ft , cancel speed restriction at TRUNK ( TRUNK에서의 속도 제한사항만 only 취소 되는것임 )
  • Kal 123, descend unrestricted to 2000ft = kal 123, descend to 2000ft cancel level and speed restriction ( 두개가 동일한 의미 . unrestricted )


ICAO vs FAA





APPROACH
LANDING
TAXI

  • 랜딩 후 TAXI 상황에선 STOP and more slowly taxiing

RAMP IN

ETC

  • 1S 2C ( slowly , clearly , concisely )
  • 시험은 1. 출발 2. 도착 순으로
  • 출발은 clearance - push back and engine start up - request taxi - take off - departure - enroute contact 까지
  • 도착은 enroute - star - approach - landing - taxi - ramp in 까지
  • 분당 100단어 보다는 빠른 속도 / ATC가 부여한 속도 순서 따라서 리드백 /
  • 부분적인 확인이나 의문사항은 read back 후 confirm altitude 000 or verify heading 000
  • push back instruction은 facing or tail north south east west 도 포함 될수 있음.
  • ramp에서 포지션 리포트시 apron or gate 000
  • 팔라우

ALTITUDE

  • Altitude deviation을 위해 항상 report leaving altitude 할것 .  ( cross gukdo FL200 면,  pilot descretion 지시임 )
  • 고도 떠날때 , 스탠다드 ATC는 다음과 같다.
  • leaving 현재고도 for 목표고도
  • leaving 현재고도 descending or climbing to 목표고도


ATC VILOATIONS

  1. BIAS 편향 . Human factor 인 편향은 ATC VIOLATION을 야기시킨다.
  2. confirmation bias ( 확증편향 ) -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는 정보만을 받아들이는 편향적인 인지 현상. 다른 사람의 조언이나 생각을 항상 고려해라 .
  3. 관제사 hearback 은 신뢰하지 마라 . 92% ATC VIOLATION이 hearback 에서 발생 .

생체 2급 보디빌딩

 

필기

실기 및 구술 

연수 ( 주중 8일 ) ( 주말 2일씩 4주 ) 

현장실습 ( 3일 ) 

 

통상 4~5월 필기 시험 후 11월 마무리 12월 자격증 취득 

 

NASM - CPT

 

시험접수 마감 2월 13일 

시험일 2월 25일

CPR 수료증 2월 13일 이전 제출 필요 

CPR 교육 1월 4일 접수 시작 ( 8시간 하루 교육 )

 

CPR 과 CPT 2년 유효 , CPR은 재교육 수행 , CPT는 CREDIT 쌓아서 자격 유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