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
- 인공위성을 이용한 navigation 시스템
- 군사목적으로 제 2차세계대전때 개발된 시스템.
- 미국의 GPS , 러시아의 GLONAS , 유럽의 GALILEO 가 있다. GPS는 GNSS의 미국 버젼이다.
- GNSS는 도로 즉 2차원에서는 최소 3개의 위성이 사용되고 , 3차원 즉 항공에서는 최소 4개의 위성이 사용되어야 한다.
SA( seltective availability )
- KAL007 사건 이후 미국의 GPS가 민간에 무료제공되었고, 제공된 GPS의 정확도가 높아 보안을 목적으로 SA를 통해 정확도를 낮추었다.
- 2000년 빌클린턴 대통령이 SA를 중단하여 GPS 정확도가 30M까지 증대 되었다.
AUGUMENTATION SYSTEM(위성 보강시스템)
- 이러한 GNSS를 이용한 항법의 정확성을 보다 높여 항공기가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항하기 위해 위성보강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 위성보강 시스템에는 GBAS(GLS) , SBAS(WASS) , ABAS(RAIM) 가 있다.
GBAS( 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 미국에서는 LAAS라고 함 ) - 최종접근단계 및 공항주변에서의 더욱 정확한 정밀도 가용성 무결성을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VHF를 통해 항공기에게 신호를 전송한다. GBAS를 통한 정밀접근은 GLS가 있다.
SBAS(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미국에서는 WASS라고 함) - . GPS는 본래 5개의 위성이 최소로 필요하다. 여기에 하나의 정지궤도 위성을 추가적으로 이용된다. 5개의 위성 신호를 지상 기지국에 보내 신호를 보강한 후 다시 하나의 정지궤도 위성에 신호를 보내 그 위성이 항공기에게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미국에서는 이 SBAS 를 WASS( wide area augmentation system )이라고 한다.
ABAS( aircraft based augmentation system 한국은 KASS ) - ABAS로 이용되는 대표적인 시스템은RAIM( Receiver autonomous integrity monitoring ) 이다. RAIM이란 즉 항공기가 GPS 신호의 결함이 없는지 감시하는 시스템이다.
항공에서 GPS는 3차원 위치를 판독하기 위해 4개의 위성을 사용한다. RAIM 시스템은 5개의 위성을 사용하며 , 혹 4개의 위성을 사용할 때에는( baro-aiding ) barometric altimeter 가 이용되어야한다.
'항공지식 > navig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RCRAFT LIGHTS ( 항공기 등화 ) (0) | 2022.07.09 |
---|---|
P-STATIC ( 강수정전기 ) (0) | 2022.06.23 |
PBN ( RNAV & RNP ) (0) | 2022.06.03 |
IRU , INS , AHRS , DOPPLER RADAR (0) | 2022.06.02 |
ILS( INSTRUMENT LANDING SYSTEM ) (0) | 2022.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