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지식/jeppesen

JEPPESEN AIRWAY MANUAL

띠디기 2022. 5. 18. 16:33

JEPPESEN AIRWAY MANUAL



JEPPESEN AIRWAY MANUAL 의 순서는 이러하다.

  1. BULLETINS
  2. INTRODUCTION
  3. NAVDATA ( 발간주기 28일 )
  4. ENROUTE
  5. RADIO AIDS
  6. METEOROLOGY
  7. TABLES AND CODES
  8. ATC
  9. EMERGENCY
  10. AIRPORT DIRECTORY
  11. TERMINAL

27P까지 봄

AFIS
aerodrome flight information service 의 약자로 , aerodrome flight information zone 이내에서
1. 트래픽 정보 2. operational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ARINC
aeronautical radio , incorporated 의 약자로 , 국제 라디오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air to ground communication을 제공한다.

ACAS ( TCAS )
airborne collision avoidance system의 약자로 , SSR을 이용한 독립 감시 시스템이다.
조종사에게 항공기 충돌의 경고를 알린다.

OCH ( OCA ) & HAA HAT
OCA OCH는 장애물 회피 고도를 수립하기 위해 obstacle clearance criteria 수립하기위해 정해진 고도이다.
즉 정밀접근 , 비정밀접근의 장애물 회피고도를 위해 사용되는 최저고도이다.
OCA란 mean sea level 기준으로 ,
OCH란 1. TDZE을 기준 2. ARP 기준 이다. ARP와 TDZE이 7FT이상 차이날 때 TDZE을 기준으로 OCH를 수립한다.
circling 접근은 OCH를 사용 , BUT ARP기준이다.


ATD
along track distance 의 약자로 , slant range error 가 없다.

APPROACH BAN
어프로치 밴이란 프로시져로 , FAF 이후에 WX MINIMUM이 이하여도 DH까지 강하 할 수있는 프로시져이다.
FAF 이전엔 MISSED APPROACH PROCEDURE를 수행 하여야 한다.

AMA
AREA MINIMUM ALTITUDE의 약자로 , IMC CONDITION에서 사용하는 최저 고도이다.
minimum obstacle clearance를 제공한다.


CEILING ICAO FAA
ICAO CEILING 은 20,000FT MSL 이하의 고도에서 하늘의 절반이상을 덮는 구름의 최저고도를 말한다.
FAA CEILING BKN 구름의 최저고도를 말한다.

운항상 중요한 구름
1. 5,000FT AGL 이하의 모든 구름 혹은
2. CB 구름
3. TOWERING CUMULUS 구름

CRITICAL HEIGHT
CRITICAL HEIGHT란 , 해당 접근절차에 수립된 가장 인가된 가장 낮은 고도를 말한다.

DCL
departure clearance via data rink 의 약자로 , Ti - Tt 시간 사이에 서비스가 제공된다.
Ti 란 서비스 시작되는 가장 이른 시간
Tt란 서비스가 제공되는 가장 늦은 시간

DISTRESS
DISTRESS란 즉시 assist가 필요한 immenent 위험 단계의 상태를 말한다.

FEEDER FIX
feeder fix 란 , IAP에 표시된 , feeder route의 시작 포인트이다.

FEEDER ROUTE
enroute structure 에서 시작하여 IAF 까지의 route를 말한다.

FINAL APPROACH COURSE
거리와 상관없이 , extended runway centerline 과 항공기 track이 일치한 시점부터 시작한다.

HIGH SPEED TAXIWAY
60KT까지 허용한다. 랜딩 후 RUNWAY 에서 TAXIWAY까지
RUNWAY OCCUPANCAY TIME을 최소화 한다.

MOUNTAINOUS AREA
ICAO : 10NM 이내 3,000FT 이상의 terrain이 있는 지역을 mountainous area라고 한다.
FAA : 차트에 지정

NEAR - PARALLEL RUNWAY
intersect runway 가 아닌 , extended centerline의 차이가 15도 이내인 활주로를 near-parallel runway라고 한다.

PCL
PCL은 pilot controlled lighting의 약자로 , 5초이내의 3 4 7 회의 mic click으로 공항등화의 강도를 조절한다.
15분동안 지속된다.

PITCH POINT
PITCH POINT란 1. fix 2. waypoint 이다.
pitch point는 1. DP 2. low altitude ground base navigation 에서 , high altitude enroute waypoint로 가는 transition fix transition waypoint 이다.

PROCEDURE ALTITUDE & PROCEDURE HEIGHT
ATC에 의해 수립된 recommended altitude 이다.
at or above MEA 혹은 stabilized descent 등의 목적으로 , 적절하게 운항시키기 위해 추천된 고도이다.
procedure altitude는 1. SMA 2. SMSA 보다 낮을 수 없다.

PROCEDURE TURN INBOUND
항공기가 COURSE REVERSAL을 마치고 , INBOUND COURSE를 수립했을 때의 지점을 이야기 한다.
조종사는 ATC에게 저 지점에서 procedure course inbound 콜을 한다.

RACE TRACK PROCEDURE
항공기가 IAS 동안 고도를 낮추기 위해 수립된 프로시져
혹은 reversal procedure가 실행되지 못할 때 final course로 inbound 하기 위한 프로시져

REVERSAL PROCEDURE
reversal procedure란 , 항공기 IAS에서 final course에 반대로 수행되는 프로시져이다.
procedure turn 도 reversal procedure의 한 종류이다.

WX RADAR ECO INTENSITY
항공기 WX RADAR의 강도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VIP LEVEL 1 = WEAK
VIP LEVEL 2 = MODERATE
VIP LEVEL 3 = STRONG
VIP LEVEL 4 = VERY STRONG
VIP LEVEL 5 = INTENSE
VIP LEVEL 6 = EXTREAM

initial approach & intermediate approach & final approach & missed approach
initial approach 는 , IAF 에서 IF까지를 말한다.
intermediate approach 는 IF 에서 FAF까지를 말한다.
final approach는 FAF 에서 MAP 까지를 말한다.
missed approach는 MAP 에서 MAF 까지를 말한다.

SELCAL
SELCAL 은 selective call system 의 약자로 ,
선택한 무선국만을 호출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외의 무선국과는 송수신하지 않는다.
CELCAL CODE 는 4자리이다.
주로 항공사와 항공기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SATCOM
위성통신으로 , 위성사업자의 통신망을 빌려서 통신하는 방식이다.

SPECIFIC GRAVITY
한국어로 비중이며 , 1을 기준으로 1보다 작은 물질은 물에 뜨고 , 1보다 큰 물질은 물에 가라 않는다.

SPECIAL USE AIRSPACE
8가지의 SPECIAL USE AIRSPACE가 있으며 , 다음과 같다.

1. alert area
1. high-volume pilot training 2. unusual activity 가 있는 구역.
non participating aircraft 들에게 주의가 요구되는 구역

2. controlled firing area ( CFA )
non participating aircraft 들에게 주의가 요구되는 지역.
특징은 . 이 구역에 접근하는 항공기가 있을 시 , 구역 내의 활동은 중단된다.
이러한 이유로 차트에 표기되어 있지 않다.

3. danger area
ICAO에서 수립한 구역으로 , 정해진 시간에 활성화 되며 , 구역 내에서 비행은 위험을 야기하는 구역. 드론활동 포함

4. MOA
MOA는 IFR 항공기로 부터 군작전 항공기를 분리시키는 목적으로 수립된 구역.
CLASS A에는 없는 VFR 군작전 항공기를 위한 구역

5.prohibited area
금지구역으로 , 항공기 출입이 금지된 구역

6. restricted area
제한구역으로 , 출입시 허가가 필요한 구역

7.warning area
US COASTLINE WITHIN 3NM을 포함하며 , non participating aircraft에게 위험이 야기되는 구역.
목적은 잠재적인 위험이 있는 항공기에게 경고하기 위한 구역이다.

8. national security area ( NSA)
ground facility의 보호를 목적으로 수립된 구역이다.
조종사는 자발적으로 이 구역을 회피하여야 하며 , 통제가 필요할 시 비행을 금지시킬 수 있다.

TDZE
TDZE은 touch down zone elevation의 약자로 , 터치다운존인 3,000ft 안의 가장 높은 고도를 말한다.

TRANSITION ALTITUDE
항공기 수직 분리가 QNH local altimeter로 분리되는 고도이다.

TRANSITION LAYER
transition level 과 transition altitude 사이의 공간.
transition layer를 뚫고 하강시 , local altimeter setting 해야하고 QNH
transition layer를 뚫고 상승시 , QNE pressure altitude를 setting 하여야 한다.

TRANSITION LEVEL
항공기 수직분리가 QNE로 되는 가장 낮은 고도.

URGENT
긴급상황으로 , 항공안전에 우려가 있는 상황. 하지만 즉시 assitance가 필요하지는 않다.

VISIBILITY
VISIBILITY는 4종류로 다음과 같다.
1. flight visibility
항공기 칵핏에서 비행상황에 나타나는 시정치
2. ground visibility
지표에서 관측된 시정치
3. prevailing visibility
하늘의 절반이상을 나타낼 수 있는 시정치
4. RVV
특정 활주로만 적용 가능한 활주로 등화 식별 가능 시정치
5.RVR
접근단계에서 활주로 등화 식별가능한 시정치.
단계별로 1. touchdown 2. mid 3. roll-out 4. far-end 로 구성
12,000FT 이상 활주로에서 4rvr 요구된다.

VOLMET
비행중인 항공기에게 제공되는 기상정보.
1. METAR 2. TAF 3. SPECI 4. SIGMET 등을 ATIS와 같이 지속적으로 송신하는 자동방송.
HF 주파수를 이용하여 방송.
D- VOLMET이란 이런 기상정보를 DATALINK를 통해 송수신하는 시스템

FLY-OVER WAYPOINT
fly-over waypoint는 해당 waypoint를 지나고 다음 waypoint로 선회가 필요한 웨이포인트.

FLY-BY WAYPOINT
fly-by wapoint란 해당 waypoint 전에 다음 waypoint로 선회가 필요한 웨이포인트.
목적은 해당 웨이포인트에서의 overshoot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젭슨차트의 활주로는 magnetic north기준이다.

alt set : hpa 는 altimeter setting이 hpa라는 것
rwy elev : 73hpa 는 QFE , 즉 공항표고를 0FT로 표기하기 위한 정보.
local altimeter setting 값에 73hpa를 빼주면 QFE. 공항표고 0FT
ATC에게 QFE 값을 받으면 , 73hpa를 더해주면 QNH 평균해수면에서 공항표고높이.


젭슨 인루트 차트
RNAV FIX 는 별모양
NAVAID FIX는 삼각형모양
compulsory reporting point는 색이 채워져 있음.

민공항은 톱니바퀴
군공항은 그냥 원형
IFR 공항은 BLUE
VFR 공항은 GREEN

 

JEPPESEN CHART INDEX 

10-1

앞자리 은 공항코드 ( 한국의 경우 1은 인천 2는 김포 )

두번째  은 어프로치 종류 ( 0 은 SID , STAR , 1은 ILS , 2는 RNAV 3,은 VOR )

세번째 은 같은 NAVAID 사용 BUT 다른 접근일 경우 구분하기 위해 사용 ( X 는 2 Y는 3 Z는 4 이런식)




젭슨 SID는 1. PILOT NAV SID 2. VERTOR SID
PILOT NAV SID는 우리가 아는 SID
VECTOR SID는 관제사의 VECTORING을 통하는 SID 절차.

JEPPESEN EASA 1
JEPPESEN EASA 2
JEPPESEN EASA 3
JEPPESEN EASA 4
JEPPESEN EASA 5
JEPPESEN EASA 6